답답할 때면 달리기를 했다. 2012년부터 뛰었다. 온천천을 뛰었다. 다리 위로는 1호선이 달렸다. 대개 내가 닿는 곳은 동래역, 답답한 마음이 들 때면 광안리까지도 갔다. 회가 올라간 접시나 맥주 몇 캔을 들고 모래를 밟는 사람들이 눈에 띄어도 크게 소리를 지르고 49번 버스를 타고 집에 왔다. 그렇게 가던 복귀는 어느 순간 버스 탑승용 후불교통카드가 필요 없을 지경이 됐다. 울분에서 시작된 뜀박질이 숨과 다리로 내려온 것.
굳이 빠를 필요도 없었고, 멀리 갈 필요 없었던 길은 때로 도전이 됐다. 대회라는 것을 알게 됐던 것이다. 거기에는 운동 용품을 만들어 파는 아디다스, 나이키, 뉴발란스 등 회사의 마케팅 행위가 주효했다. 트레이닝 런은 실은 트레이닝과 함께 신제품을 선보이는 온갖 종류의 대화가 들어 있었다. 물론 그게 싫은 것은, 당시에도 지금도 결코 아니다. 이건 자유로운 의지 아래 한정된 공간에서 펼쳐지는 교환행위니까. 그러나 때로 대회와 연계한 신기술 채택 제품의 출시는 왜 그렇게도 기가 막혔던 것인지. 시즌별 밀어대는 물건의 이야기, 소위 ‘스토리텔링’은 인제 와서 생각해도 기가 막힌 수준의 정교함을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달리기를 이어갔던 것은 ‘가장 정직한 운동’이라는 오래된 표어기 때문이었다. 모든 말과 상황은 수시로 바뀐다. ‘덜 정직한 운동’이 될 때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스스로 느끼는 수준을 넓게 잡자면 달리기는 ‘가장 평화로운 운동’이었다. 사실, 그래. 당첨부터 9월 중순까지 150여일 동안은 그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