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슴이 내려가는 곳까지

나와 눈높이를 맞추고 거리를 품만큼 가까이 앉아본, 친구라는 이야기다, 사람은 알 것이다. 내가 꺼냈던 사슴 이야기를. 환란의 며칠이 살점에서 떨어진 날, 그 이야기를 심심하게 꺼내 보려고 한다.

초등학교 3학년 시절로 기억한다. 이후 최근까지 나는 같은 꿈을 연이어 꿨다. 다른 것도 많았으며, 더 많았을 테다. 우리는 사실 꿈을 자세히 묘사하지 못하니까. 그런데도 기억나는 몇 개 현상現像에는 돌연 성적 지향이 바뀐 이의 사랑이나 물에서 빠져나온 어류와 여행, 청소년기에 진했던 색정色情 혹은 순수의 시대처럼 복잡 다양같은 것들이다. 이 밖에도 노트 몇 권과 온라인의 몇 개 단락에는 그게 숨어있다. 오래된 같은 꿈 그것을 빼놓고서.

이걸 털어내지 않으려 했던 이유는 나 스스로 그 터널을 깨거나 왜곡시키고 싶었기 때문이다. 본 적도, 들은 적도 없는 이 꿈은 마치 내 심장에 박힌 다이얼처럼 이따금 툭툭 튀어나와서 머릿속으로 들어갔다. 유통기한이 없는 줄 알았으나, 어른이 될 수록 그 빈도가 줄어드는 탓에 하염없이 붙잡고 싶어서일까. 이제는 1년에 대여섯번 꿀까 말까 한 피터팬의 유수流水 같아서 굳이 문자에 대고 얕은 심보로 청을 하는 것이다.

청록의 빛은 암흑부터 찬란까지 제멋대로 깔려있었고, 그 위에 사슴이 서 있었다. 뿔이 우람하고, 귀도 커다란 그는 본 적 없는 자세로 있었다. 마치 기도하는 듯한 작태, 무릎을 뒤로 꿇은 모습은 이후 보고 알게 된 사슴의 해부에 비해 해괴했다. 사람에게서 진화한 사슴의 모습이라면 저렇게 있을 수 있을까. 그런 상상의 틈은 오래 허락되지 않았다. 사슴이 흐르기 시작한 것이다.

청록의 눈밭을 청록의 사슴이 내려가기 시작했다. 자신의 의지가 아니다. 사실 내 의지도 아니다. 사슴을 봤을 때 나는 이미 사슴 등 한가운데 앉아 있었다. 동물 학대가 아니냐고, 굳이 그런 지적할 필요는 없을 테다. 이건 꿈이니까. 눈 앞의 눈은 생크림 케이크처럼 갈라지면서, 무척 부드러운 하강 여행을 나는 그와 했다. 고요한 클래식 음악을 틀어놓은 기분이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내 꿈에는 소리가 쉽게 등장하지 않는 편이고, 이 꿈은 20년 가까이 그렇게 무음의 운명곡을 재생해왔다.

곧이어 깎아지를 듯한 이 언덕은 끝이 났다. 그러나 이건 종국을 향한 기착지일 뿐이지. 속도는 줄지 않고 그대로 나아간다. 어느덧 사슴은 없다. 사슴의 목과 뿔, 내가 하강을 할 때면 꼭 붙들던 그 녹각鹿角이 지워지며 나는 점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나는 사슴에서 내린 것일까, 아니면 내가 사슴이 된 걸까. 말간 큰 눈이 느껴질만큼 예민했던 나는 청록에서 백설로 바뀐 배경을 뚫고 먼 점을 향해 나아가다가.

다시 새벽. 오래된 사슴이 없는 새벽에 빛을 바라보는 아침에 나는 등교와 졸업, 출근과 지필 속에서 사슴을 찾고 있다. 나였던, 나이기를 바랐고 나를 바랐던 내 사슴을.

광고

보여서, 울었다.

눈이 아픈 것은 1달쯤 된다. 이날 아침 나는 참 울었다. 두려움이 마음에 있었다. 글 짓는 것을 업으로 삼은 사람은 손가락이나 입보다 귀나 눈이 중요하다, 그다음으로는 코.

비의 냄새를 맡는다. 바람의 소리를 듣고, 낙엽의 울음을 느낀다. 다시 우환의 하소연을 듣거나 젖은 난간의 넋두리를 본다. 그리하여서 나는 살아있고 성장했고,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다.

2011년 7월, 나는 자의에 의해서는 지금까지의 처음이자 마지막 수술을 했다. 눈을 내주는 것은 푸른 점을 바라보는 것으로 끝났으나 나는 그후로 오랜 시간, 지난한 불안을 가지고 있다. 이걸 잃어버릴까 하는.

2016년 어느 날은 햇빛을 가리는 이른바 ‘블라인드’의 하단 봉에 왼쪽 눈을 맞아서, 당구대로 당구공을 치듯이, 각막이 일각 찢어지는가 하면 부러진 칼날이 속눈썹 바로 위를 때리기도 했다. 이 밖에도 지난 10년 내내 나는 선글라스와 청광 차단안경을 예비해서 살았다. 암흑은 견딜 수 없는 막장인 탓이다.

초등학교 1학년, 전남 여수 바닷가 마을의 교실 문을 열던 순간이 회상된다. 이게 회상인지, 기억과 기록을 통해 재구성된 상상인지 명료하지 않으나 난 이 반에서 처음 안경을 코 위에 얹고 나타난 어린이였다. 꼬마 과학자가 되고 싶어서 이불을 뒤집어 쓰고 이것저것을 만진 대가로 잃은 시력은 내내 고충의 일부였다. 중고등학교 때 친구와 싸우다 안경이 부러져서 허공에 주먹질을 한 것도, 수영을 하고 싶어서, 잘 믿어지지 않겠지만 중학교에서 학교 대표로 대회를 나가서 포디엄에도 오른 바도 있지, 물안경에 도수를 넣을 수 있는지 알아봤던 것도 이 때문에 벌어진 조금의 수고다.

고민에 고민을 더해서 눈을 맡겼지만 그 뒤에 올 노화나 시력 저하에 대해 생각을 전혀 아니했던 게 아닌 탓에 그 속도를 최대한 늦추고 싶어서 온갖 것을 해왔다. 그런데도 스스로 느끼기에 변화가 최근에 온 탓에 속앓이가 심했던 것이다.

최근에는 병원을 갔다. 아무 이상이 없다고, 피곤하거나 고민하는 일이 있느냐고 의사가 물었고 나는 머뭇거리다가 몇가지를 대답했다. 건조한 대화였고 밖에는 비가 내렸다. 적층형 피로와 적분된 불안이 갈대처럼 흔들거렸다. 이 도시에서. 업보를 인 이들이 흐르고 있었다.

바깥이 보였고, 나무가 흔들리는 광화문 옆에서 나는 보여서 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