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감고 있던 눈을 뜬다. 출근 시간이 다가오고 습관처럼 턱을 만진다. 집안 내력인지 또래와 비교해 수염이 쉽게 돋지 않아 이틀 혹은 사흘에 한 번 턱에 칼을 대 온 내게 아침 1, 2분의 늦잠이 허락될는지 확인하는 과정. 아직 만져질 만큼 자라지 않은 털을 확인하고 몇 분의 틈을 더 가지려 하다 창을 뚫고 눈까지 곧장 내리쬐는 빛에 정신이 확 든다. 지금은 6시 정각, 서교동과 연남동 사이 옥탑의 우리 집에 내리는 빛이 이리도 강할까. 확인하던 찰나 어젯밤의 과정들이, 무의식의 가장 아래에 잠겨있던 욕망만은 아니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를 확인하기 위해 걷은 것은 내 정신과 눈앞에 있는 붉은 커튼과 그너머 도시, 여기는 베트남 하이퐁이다.
베트남을 선택한 것은 순전히 비행깃삯 때문이었다. 뒤늦게 휴가 일정을 잡은 후 여기저기를 알아봤다. 재작년에는 무턱대고 자전거 국토종주를 했고 지난해는 일하는 곳을 옮기느라 하루도 쓰지 못한 3년 만에 제대로 된 휴식 일정, 한국에서도 이것저것을 할 수 있었으나 ‘종일 누워있더라도 아무 연락도 닿지 않는 곳에 숨겠다’ 생각해 찾은 곳이 저가항공을 이용한 베트남 하이퐁행이었다. 이후 준비는 일사천리, 호텔스닷컴에서 방을 잡았고 동남아시아 여행을 하도 많이 다녀 책까지 쓴 친구에게 도움을 받아 8일간 쓸 24만 원도 환전했다. 남은 것은 짐의 무게를 맞추는 일. 자주 여행과 출장을 다니던 분의 조언으로 전자저울을 사 항공사에서 허락한 7kg을 맞춰 공항을 향했다. 18,000원을 추가하면 10kg을 위탁 수화물로 맡길 수 있지만, 굳이 돈을 더 쓸 필요가 없었기에 작은 짐을 싸 창공에 몸을 띄웠다.
비행기 안에서 꾸준히 베트남과 하이퐁에 대해 공부했다. 내가 찾은 하이퐁은 한국으로 치면 부산광역시쯤 되는 곳이었다. 58개 성과 별개로 존재하는 5개 중앙 직할시 중 하나이며 바다를 끼고 있어 무역으로 성장했다. 함께 따라오는 밀수와 조직폭력 세력의 준거지인 것도 비슷한 면이다. 베트남에서 중고등학교 시절을 보낸 지인의 장난스러운 이야기에 따르면 폭력조직이 항만 주도권을 쥐면서 베트남 전역의 미인들이 몰려 ‘베트남 대표 미녀 도시’가 됐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단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에 4개 있는, 곧 착륙할 국제공항이 있는 도시인 점도 같다 할 수 있다.

4시간여 비행을 마치고 내리면 가장 먼저 만날 수 있는 생경한 광경은 낫과 망치로 대표되는 공산주의 상징 깃발의 도열. ‘아, 여기는 공산국가구나’. 스탈린주의와 레닌주의를 표방하는 공산국가답게 이후에도 여기저기서 볼 수 있었지만, 미국 등 서구권 영화 등에서 보여주는 무뚝뚝하고 항상 긴장감 감돌 것 같던 인민군은 여행을 마칠 때까지 한번도 볼 수 없었다. 다만 ‘쎄 옴(Xe Om)’으로 불리는 오토바이 택시를 타며 만난 베트남 경찰의 웃음이 이 아쉬움을 덜어줬다. 그래도 생경했다. 500미터가 넘는 긴 도로를 따라 걸린 붉은 물결은 ‘자유민주주의의 요람’에 담겨 서른 해를 채우며 알게모르게 생긴 위압감의 대상이었지만 사흘쯤 지나자 아무런 느낌도 들지 않았다. 철저한 외부자이기 때문에 어떤쪽으로도 더 다가갈 수 없다는 느낌을 받았기 때문일 수도.
이후에는 여느 해외 방문과 비슷한 일정이다. 우리에게는 번화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베트남 쌀국수 전문점’ 때문에 국수가 유명할 것으로 상상됐지만 포(Phở·베트남 국수류의 총칭)는 이 나라에서는 한국의 라면과 김밥같은 것이라 간혹의 허기를 채우는 수단. 바인미(bánh mì·쌀빵으로 만든 샌드위치)와 함께 대표적인 서민음식이었다. 길거리에 ‘목욕탕 의자’로 불리는 앉은뱅이 의자 위에서 먹든 에어컨 아래에서 먹든 값과 가격은 비슷한 수준. 특히 한국의 노점상보다 비교될 수 없을만큼 허름한 천막을 치고 정말 보도블록 위에서 식사를 하는 풍경을 처음 목격했을 때는 ‘이 사람들은 음식을 분위기가 아닌 허기와 맛으로 먹는구나’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호텔 매니저에 따르면 사실 베트남 최고급 음식은 여전히 100여 년 전 식민지배를 했던 프랑스식 정찬이라 한다. 그러나 베트남에 가서 굳이 프랑스 감성을 느낄 필요가 없어 나는 길거리에서 이것저것을 주워 먹고 다녔다.
총 여드레를 베트남에 있으며 나흘을 하이퐁에, 이틀을 수도 하노이, 하루를 인근 깟바섬에서 보냈다. 먹고 마신 것과 보며 느낀 것을 도시별로 간략히 정리해본다.
하이퐁의 가장 큰 특징은 산이라 부를만한 구릉이 없다는 것이다. 어딜 보아도 언덕이 없어 나름 바닷가 도시지만, 해륙풍이나 산곡풍이 불지 않는다. 키가 큰 나무는 많은데 넓은 잎사귀가 없어 그늘도 많지 않다. 여름철 베트남은 습도가 85%를 넘나들고 구름이 없이 맑은 하늘에서는 뜨거운 태양이 열을 뿜어 선크림을 바르지 않으면 금세 피부가 구릿빛으로 타고 만다.
바다와 연결된 강을 끼고 발달한 탓에 해산물 요리가 발달했다. 기본 볶음밥을 시켰는데 게를 한 마리 얹어주거나 새우로 산을 쌓아준다면 (주문을 잘못받은 게 아닐 때) 기본으로 끼워주는 덤이니 기분 좋게 먹어도 된다. 물가가 저렴하니 추가해 시키는 것도 값이 비싸지 않다.


대표적인 맛집은 ‘바 쿠(Ba Cu)’로 불리는 국숫집이다. 대표적인 음식은 게로 맛을 낸 육수에 각종 채소를 넣어 먹는 면 요리와 게를 통째로 튀겨 만든 튀김이다. 여행 프로그램에 나와 명성을 얻었다고 검색돼 가봤는데 현지 음식점과 비교해도 위생이 좋지 않았다. 국수 맛은 동네에서 파는 해물 라면과 비슷한 수준, 게 튀김은 이색적이긴 했으나 양에 비해 값이 셌다. ‘바 쿠’ 바로 앞 노상에서 비슷한 메뉴를 1/3 가격에 팔던데, 그것을 먹고 비교해보지 못한 게 아쉽다. 참, 가격은 게 튀김과 국수를 합쳐 10만 동(한화 5천 원) 수준이다. 베트남에서 이정도 값이면 비싼 축에 속한다.
마트와 편의점 등이 많지 않은 점은 여행객들에게 스트레스일 수 있다. 하이퐁 면적은 1,527km²로 서울보다 2.5배 넓다. 그러나 구글 등에 검색해도 한국에서 ‘마트’로 통칭하는 ‘기업형 대형 할인점’은 6곳뿐이었고 ‘세븐 일레븐’ 등 소규모 슈퍼마켓도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더위에 지쳐 마신 첫 콜라는 골목 시장에서 산, 미지근한 물에 담겨있던 미지근한 콜라였다. 여전히 재래시장 중심의 경제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여기저기 물건값이 다를 수 있다. 저렴한 것을 찾아다니는 게 재미있을 수도 있지만 ‘굳이’. 여행자 기준에서 필요한 게 눈앞에 보이면 일단 사야 하는 곳, 전혀 다른 모습처럼 보이지만 사실 어릴 적 고향의 모습도 그랬던 것 같다.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는 일단 가격을 깎아야 한다. 하노이에서는 그나마 우리의 카카오택시 격인 그랩(Grab), 우버(Uber) 등 O2O 서비스가 잘돼 있어 이동수단 이용의 적정가격이 형성돼 있지만 하이퐁은 아직 흥정이 우선이다. 가장 많은 돈이 나갔던 것은 처음 공항에 내려 호텔까지 탔던 택시. 20만 동(한화 1만 원)을 달라는 것을 12만 동(한화 6천 원)까지 깎아 탔는데, 나중에는 더 먼 곳에서 택시를 타 이동하고도 5만 동(한화 2천 5백원)에 해결하기도 했다.

깟바섬은 하이퐁에서 가까운 섬이다. 현지인에 따르면 본격 관광지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2010년쯤으로 하롱베이와 하이퐁 중간에 있어 이동시간은 절반밖에 걸리지 않는데 훨씬 깨끗하다는 소문이 나며 호텔과 리조트가 들어서기 시작했단다. 하이퐁 선착장에서 12만 동 (6천원 내외)을 내면 쾌속선을 타고 1시간 반 정도 걸려 갈 수 있다.
깟바섬의 바닷가는 한적해 조용하게 시간을 보내기 좋다. 섬들로 둘러싸인 해변을 보며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카페와 바가 사방에 널렸다. 물론 목이 좋은 해변은 아예 리조트에서 전용해변(private beach)으로 자리를 막아둔 점은 아쉬웠지만 고요한 분위기를 즐기기에 부족함이 없다.

하이퐁에서 깟바섬을 이동할 때 보이는 탄 부 락 후옌(Tan Vu Lach Huyen) 해상대교 건설현장을 구경하는 것은 또 하나의 구경거리다. 일본 정부 ODA(정부개발원조) 1조1,260억원으로 건설된 이 다리는 총길이 5.44km로 베트남 국내 최장 대교로 기록됐다. 배를 타면 멀리서 차들이 거북이처럼 천천히 움직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지난 2015년 말 하노이-하이퐁 고속도로가 개통되며 하이퐁에서 수도 하노이로 이동시간은 1/3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하노이는 고도(古都)인데다 오래전부터 여러 개발이 집중된 탓에 ‘관광’하기에는 나은 편이다. 하노이 관광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하노이를 찾은 국제관광객은 410만 명 수준. 이들이 먹고 놀 것들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호안끼엠 호수 인근 야시장과 음식점으로 대표되던 관광중심지는 서호 인근과 롯데센터 하노이가 있는 투레공원까지 확대되는 상황이다.
하노이도 먹거리는 비슷하다. 야채가 들어간 볶음밥과 쌀국수, 한국에서 월남쌈이라 부르는 ‘고이꾸온(Gỏi cuốn)’이 대표적이며 커피는 콩 커피와 하이랜드 커피가 한국인 입맛에 맞다. 하노이 여행에서는 여행 애플리케이션 ‘트립 어드바이저(Trip Advisor)’를 이용해 먹을 것을 찾으면 노상에서 먹는 쌀국수와 바인미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곳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정리도 잘돼 있다.
베트남 하이퐁 일대를 여행하며 ‘1987년생 지방 출신 한국인 여행자’로서 얻은 느낌을 정리하자면 네댓개로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우선 면세점 이용은 인천국제공항에서 끝내시길. 하이퐁 공항에는 담배와 참이슬 소주밖에 없다.
한국에서 환전은 미국 달러(USD)로 해 현지에서 베트남 동(VND)으로 하는 게 낫다. 한국에서 베트남 동으로 곧장 환전할 수 있지만 약 5%가량 차이가 있다. 여행비용을 넉넉히 환전해 다시 대한민국 원(KRW)으로 바꿀 때도 이 편이 낫다. 베트남 외국환관리법 상 베트남에서 동을 달러로 환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것도 이유 중 하나다.
현지 맥주를 넉넉히 마셔보자. 한국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비아 하노이와 사이공 외에도 다이비엣(Daiviet), 333맥주(333 Bear), 푸다 맥주(Fuda Beer), 사이공 스페셜, 탕롱(Thang Long) 등 10여 개의 맥주가 있다. 물론 베트남에 공장을 둔 하이네켄 등 맥주도 맛있지만 약간 더 밍밍한 현지 맥주는 나름의 매력이 있다.

마지막으로 우산이나 우비를 꼭 준비하자. 대체로 아열대성 기후대에 속하지만 스콜이 잦았다. 한국 여행객들이 주로 찾는 7월부터 9월 사이는 대부분 날이 맑지만, 만났던 현지인 대부분이 평소에도 우비나 작은 우산 휴대를 습관처럼 하는 것을 보면 가지고 다녀 나쁠 것은 없을 듯 하다.
출발 전 베트남을 검색하면 항상 떴던 연관검색어는 ’전투민족’이었다. 멀리는 몽골과 청나라부터, 가깝게는 프랑스와 미국, 중국과 전투를 벌이면서도 민족성을 지켰던 나라. 짧은 시간 지내며 나는 그들에게 겨우 몇일 있다 지나가는 사람이었기에 사방이 적(赤)으로 덮힌 동양인의 기세를 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수많은 오토바이가 돌진하듯 교차하며 조화를 이루는 공간에서, 전투민족의 기세를 몰아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 그들의 삶과 자세가 내게 충분히 자극을 줬다. 매력적이었던 베트남, 한번 가본 나라와 도시를 쉽게 다시 찾지 않는 내 여행습관을 뚫고 다시금 가보고 싶은 나라로 기억되고 있다.

참, 베트남에서는 지금 종합편성채널 JTBC에서 재작년 방송됐던 월화드라마 ‘밀회’가 방송 중이더라. 하노이 상점가에서 “두 유 노우 싸이(Do you know PSY)”처럼 울려퍼지던 “아이 노우 유아인(I know Yoo Ah in)”을 들으며, 국경을 넘어 인기의 중심에 서있던 배우 유아인이 부럽던 것은 비밀 아닌 비밀이다.
<비용 등 참조사항>
*항공료 : 20만원에서 40만원 사이. 휴가 일정을 잡은 후 곧장 예약을 했는데, 비행 출발 29일 전에 예약해 38만 원 결제했다.
*숙박료 : 4성급 호텔, 사실상 국내 중고급 모텔 기준 5만원 선. 욕조나 수영장이 딸린 호텔은 8만원 선이다. (2인실 기준, 1인실을 결제해도 침대가 ‘쓸데없이’ 2개 있다.)
*식비 : 길거리 음식이나 서민식당 기준 한끼당 5만 동(한화 2천 5백 원)에서 15만 동(한화 7천 5백 원) 사이면 충분하다. 일식이나 스테이크 류 등은 40만 동(한화 2만 원)까지 하는 곳도 있다.
*기념품 : 베트남에서 10년 이상 거주한 지인에 따르면 하노이 보드카가 가장 괜찮다고 한다.
*비고 : 현지 한인에 따르면 하노이 야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나이키, 언더아머는, 물론 정품도 소량 있지만 가짜나 B품(판매 불가로 판정나 폐기로 보내지나 야시장으로 빼돌려진 물품)이 많다고 한다.
<추가사항>
*하이퐁에는 현지 USIM을 구입할 곳이 마땅치 않습니다. 베트남 USIM 미리 한국에서 구입해서 가세요! (저는 하루 1GB씩 7일 쓸 수 있는 USIM을 1만원 중반대에 구해서 갔어요.
*모든 사진은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갤럭시 S8로 촬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