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할머니와 통화는

사람의 사망에 대해 무덤덤해진지 오래다. 일 때문에 본 시체, 또 망자의 기록, 아니면 수없이 마주하는 안타깝거나 혹은 잔인한 죽음이 역치에 닿아서는 아니다. 사랑하던 선생님, 형 또 언론사 선배가 돌연 유명을 달리해서 그런 것도 아니다. 세포의 재생 주기가 계속 짧아지면서 ‘회복의 끝’에 다다르는 게 무서워서도 아니다. 내 죽음도 그럴 것이다. 그저 살았으니 결국 숨을 놓는 것, 그 당연한 굴레를 거스르지 않겠다는 느낌 정도다. 열몇해 전 한 신부는 내 이야기를 가만히 듣더니 ‘나를 위해 기도하겠다’고 했다. 천국도 지옥도, 환생이나 구천도 마다하여서, 무덤덤하게 죽고 싶다. 믿음이 약한 죄로 이생 다음의 수만 시간 동안 불탄다면 그 업보도 이겠다는 마음이다. 그럼에도, 사실 종교와 별개로 나는 무신론자가 아니다, 여전히 무덤덤하게 죽고 싶다.

그런데도 주변이 늙어가는 것에 슬픔을 느낀다. 마음이 힘들 때면 외할머니께 전화를 걸곤 하는데, 그럴 때 더욱더 그러하다. 노화의 진행은 천연하게도 당연함에도 목소리에 힘이 약해지는 그에게 안타까움과 함께 내가 무엇을 해드릴 수 없음에 처절한 기분을 참을 수 없는 것이다. 어른이 되면서 ‘가족의 조연’이 된 뒤 자녀의 보물 혹은 업보를 다시 안아 기른 그 인생에 나는 한없이 미안해졌다가, 다시 값싼 안타까움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끝 맺을 수 없는 글에, 끝 맺을 수 없다는 말을 한 줄 더해 밀려오는 형언불가의 감정을 막아본다. 나는 ‘그거 아느냐’는 말이나 ‘무슨 말인지 알지요’ 같은 말이 싫어서 글줄을 입에 물었건만, 이따금 가슴에서 목 사이에서 턱 걸리는 단어나 울음, 감정에는 어찌할 바 모르다가 머리와 가슴에 열이 오르곤 했다.

광고

현실적인 현재라면 돼요.

나는 과거를 사랑하지 않게 됐다. 오히려 밀어내거나 멀리하고 싶었다. 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그것은 가까운 과거에서부터다. 먼 과거나 기억 밖의 과거는 그런 결단과는 틈이 있다. 가깝게는 가족이나 교제했던 사람, 멀리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생에 어떤 영향을 끼친 사람과의 접촉이나 폭발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나 스스로의 어제와도 그래, 어제 무엇을 먹었는지 누구와 대화했는지, 어떤 조건을 사랑이라 규정했는지도 마찬가지다.

현재를 버티기도 힘들어, 공부도 취재도 사람도 체력도, 그밖의 오늘의 공상까지도. 가까운 내일이 없길 바랄 때가 많은 것은 지금의 고충이 켜켜이 쌓이기 때문, 물론 이 모든 게 고통은 아니다. 스스로 선택한 것들을 후회할 시간도 없고 이유도 없다.

그런데도 꽤 무거웠나 보다, 아주 오랜만에 가까운 과거에 진 돈의 무게는. 나는 25일을 기다리는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았다. 그리하여 신용카드도 잘랐고, 대중교통도 값을 따졌고, 정규직으로 만 10년, 비정규직을 더해서 열다섯 해째 일하면서도 백만원 장학금에 허기졌다. 침대를 놓는 값, 만남을 해태解胎하는 대가, 욕심에는 경계선이 없거나 한쪽으로만 밀 수 있는 것일까. 지독하게도 자본주의가 외롭다는 것을 이따금 느꼈다. 그것은 나의 탓일까, 나는 용기와 업태를 양 저울팔에 올리고도 양 손을 놓지 못했다. 두려워서, 겁이 나서.

현재에 있겠어요, 그럼에도. 지금 여기 살고 있어요. 피를 내지 않고 항생제를 먹고, F코드를 치는 사람들 옆에서, 나는 계량되지 않는 사람으로 이곳에 서 있을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