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종로구 재동에는 멀리서 봐도 잘 보이는 소나무 한그루 제자리를 지키고 있다. 꼿꼿해 계절이 지나도 항상 푸를 것 같은 소나무는 아닌 그것은 중심가지가 양쪽으로 벌어져 마치 두 그루 같이 힘이 없어 보였다. 가지의 빛은 또 어떤가. 히멀죽한 자태는 ‘어디 아픈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들게 했다. 그런 녀석이 있는 곳은 헌법재판소, 국민의 원천이 깃든 곳이었다.
재동 백송을 처음 본 것은 지난해 겨울의 머리 정도. 이따금 북촌이나 삼청동을 거닐었지만, 굳이 헌법재판소를 갈 일 없던 내가 처음으로 마주한 것은 국회 탄핵안 통과한 몇주 뒤 였다. 우리가 즐겨보는 가로수는 버즘나무(플라타너스), 그것은 다시 뿌리가 뽑혀 벚나무나 은행나무로 바뀌기 일쑤였다. 이처럼 자주 바뀌는 나무와 다르게 몇 수십 년은 돼 보이는 그를 처음 마주할 즈음, 나는 ‘무슨 사연이 있긴 있는 나무겠구나’하고 생각했다.
그날 그 길을 지나던 아저씨 두 명이 이야기를 나눴지, 내가 그 앞에 서서 사진을 찍으려던 무렵. 작업복 같은 것을 입고 각반을 찼던 그는 비니를 눌러쓴 동료에게 말했다. “저 나무 말이야. 저게 중국에서 들여왔어, 몰래. 아마 한말쯤 일거야. 한그루는 번개를 맞았다던가? 어쨌든 한 놈 죽고 저게 이제 우리나라 제일 오래된 백송이야. 저게 우리나라 중요한 역사는 다 쳐다보고 있었겠지”
집에 와 찾아보니 그 말은 대부분 진짜. 최소 400년에서 통상 일컬어지기를 600년 이상 산 그는 대한민국 근대사 부분부분을 전부 내려 봤을 터.
그 후로도 백여 일 동안 그를 보지 못했지만 그는 한국의 역사를 조용히 내려 보고 있었겠지.
오늘 그를 만났고 그도 나를 보고 있더라. 심판정은 물론 전국 곳곳, 전 세계 여러 곳에 동시에 울려 퍼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인용 소식이 그의 가지, 뿌리에도 내렸겠지.
언젠가 나 같은 기자나 카메라 감독, 혹은 스텝이나 청구인 아니면 피청구인도 저 나무를 보며 다시 느끼겠지. 인간으로, 자연 앞에 인간으로, 한 나라를 함께 살고 만들고 지내는 우리에게 ‘옳은 것’과 ‘당연한 것’ 그리고 ‘자연스러운 것’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계절이란 게 뚜렷한 한국에서, 우리의 정치, 사법, 미래의 계절은 돌고 돌아 다시 봄을 찾아가고 있는지, 오늘 종로구는 어제보다 따뜻했다.
그곳에 백송이 있었고 지금도 있다. ‘자연스러운 한’ 언젠가 그도 이 땅에서 없어지겠지만, 그래도 지금 이 역사를 내려다보던 푸른 백송이 당분간은 여전하길 바라본다.
(2017년 3월 10일 페이스북에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