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렵게 묻고

어떤 ‘사실에 기반한 글’을 쓸 때, 몸이 아프다. 가슴이 아프다거나 마음이 저리다는 것은 사실 신체의 반응을 수반한다. 실제 혈관이 수축하면서 심근경색이나 편두통을 불러 일으키거나 심각한 지경에는 눈물도 제어가 되지 않는다. 심장이 빨리 뛰거나 눈가가 파르르 떨리기도 한다.

그런데도 한걸음씩, 조금씩, 앞으로. 아니, 내가 앞이라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체體 지구에서 우리는 각자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어떤 사람이, 니체의 상처입은 분노도 스스로의 현실에는 더 이상 도움될 것이 없다 말하지만, 우리는 어렵게 묻고 쉽게 대답해야 하니까.

광고

남의 것과 내 것, 감정과 사실 사이

어떤 글을 짓기 위해 사실을 갈고 붙일 때 무척이나 오래 걸리는 경우가 있다. 내 것은 오롯이 내게 책임과 자유가 있다 하더라도 남의 것에 손을 댈 때는 무척이나 조심스럽다. 최근 과학수사 교육에서 만난 K대 K교수는 그걸 ‘편집증’이라고 했다. 우리같이 글자를 모아 문단을 꾸리는 치 들에게 흔히 있는 증후라 했다. 나는 그걸 조금 꺾어서 증세症勢로 바꿔 불러 보기로 했다.

동료 중 하나는 ‘남의 일’에 슬퍼하지 않았다. ‘남의 죽음’도 안타까운 것일 뿐이거나 빨리 지나가야 하는 사건 중 하나라고 했다. 틀리지는 않은 말이었다. 일은 쏟아지고, 나는 취사선택 해야만 했다. 그것은 때로 어떤 집회에 귀를 대지 못하거나 어떤 아스팔트에 남은 흔적을 보지 못하게 되는 과정이었다. 그것을 무척 잘아는 이들 중 몇몇은 서울 영등포구로 눈길을 돌렸고, 때로는 멀고 먼 산귀퉁이로 발걸음을 옮겼다. 나는 ‘사실의 글’을 써서 밥을 벌어 먹었다는 선배 중 몇이나 농촌으로 들어가버렸다는 이야기를 바람 속에서 듣고는 했다.

오히려 감성적인 게 때로 나를 아프게 했다. 어떤 사람의 죽음은 ‘내 알 바 아니’지 못해서 이불을 붙잡고 눈물을 흘렸다. 회사에서 내게 빌려준 컴퓨터 타자기에 한숨이 못처럼 박혔다. 담배를 태우지 않는 편이 오히려 나았다. 머리 위에 구름을 이고 다닐 게 아니면. 언제고 천둥이 치고 비가 흩날릴, 그런 여유를 가질 새가 아니라면.

그래도 써야겠어서, 남기고 박아야 하니까, 다시 몸을 일으키고 증세를 겪었다, 병의 이름표도 보지 못하고.

글은 여러 번 ‘보류’를 당한 끝에 무덤에 들어가기도 했으며 어떤 문장은 치열하게 다투고서 혓바닥 아래에 다시 잠식 시켰어야만 했지만, 또다른 어떤 바이트Byte를 빚다가 내 것은 무엇이 남았나 잠시나마 고민해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