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봉준과 사람들은 함께 비를 맞았다.

전봉준이 종각역 앞에 등장했다. 종각역 앞에는 여러 건물이 있다 사라졌고, 지금은 중국에 적을 둔 한 은행이 있다. 그자리는 또 우금치에서 일본군에게 패배한 전봉준이 서울로 끌려와 전옥서(典獄署)에 수감된 곳이다.

그 동상을 사실 나는 어제 먼저 만났다. 오전 취재를 마치고 A부장과 점심식사를 위해 회사로 오던 중 청계 5가의 물난리를 이미 추가로 보고 전한 뒤다. 약속에 조금 늦었지만 종로1가에 등장한 기중기는 퍽이나 오랜만에 보는 모습이어서 발길을 멈췄다.

비가 세차게 오고 있었다. 비닐에, 다시 천에 쌓인 어떤 물건은 트럭 뒤에 실려있다 크게 들려 미리 설치돼 있던 화강암 위로 얹어졌다. 아이러니하게 나중에 알게 된 것은 그를 들어 옮길 때 포장의 무게중심이 목 뒤에 있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마치 교수형하는 것처럼 옮겨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옆으로 뒤로 다시 앞으로. 힘을 쓰는 이들은 대부분 나이든 노년의 남성, 거기에는 외국인 노동자도 있었다. 그들은 비를 맞으며 물기 가득한 재단 위에서 세게 발을 굴렀다.

어느정도 위치가 갖춰지고, 드디어 껍질이 벗겨지기 시작했다. 강렬한 눈빛의 그가 종로사거리에 나타났다.

보자마자 전봉준인 것을 알았다. 머리 위로 질끈 묶은듯한 모양과 눈빛, 그리고 입술.

중앙에서 설치를 총지휘하던 이는 내가 연신 사진을 찍자 자랑스레 “전봉준 장군입니다. 내일 개막할 건데 처음으로 보는 손님이네요.”라고 했다.

 

KakaoTalk_20180423_15393543021e21ed.jpg

 

그렇게 모습을 드러낸 전봉준은 오늘 다시 흰 천에 싸였다가 만인에게 모습을 보였다. 많은 정치인과 종교인 등은 그 앞에서 사진도 찍고 손을 쓰다듬었다. 직접 본 것은 아니고, 사진으로.

그들도 왔을까. 비를 맞으며 위치를 잡고 멀리서 흐뭇하게 쳐다보던 이들, 조심스럽게 그를 들어 옮겼던 기중기의 남자까지.

전봉준은 1894년, 수백 명의 동학교도를 이끌고 만석보를 파괴하고 고부 관아를 공격했다. 이는 조병갑이 모친상을 당하고 부조금으로 2000냥을 거둬오라는 요구, 만석보라는 이름의 저수지를 백성들의 노동력을 동원해 건설하고 그 사용료도 백성들에게 강제로 징수하는 등 농민에 해가 되는 행동을 했기 때문이다. 전봉준은 수탈에 앞장섰던 아전들을 처단하고 불법으로 징수한 세곡을 탈취하여 빈민에게 나누어 주었다.

광고

종鐘이 달렸다.

심경深更이 중천을 넘을 때 겨우 달이 구름에서 나왔다. 바람부는 소리가 들린다. 바람이 구름을 민거다. 구름은 물에서 왔다. 두근두근 또 보글보글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 그가 겨우 하늘에 뜬거다. 마음대로 되는 일 하나 없었다. 오래 등을 댈 데도 없었다. 정처없다가 외롭다가 그럴 바에 모두 잊고 자유로이 노닐겠다 마음 먹었는데 그는 다시 바람에 휘청인거다. 그렇게 물의 후신은 바람과 팔짱끼고 옆동네로 이주 당했다.

그러는 동안 겨우 입을, 아니 면面을 뗀 이가 달이다. 달은 바람이나 물, 안개나 구름보다는 주체성이 낫대도 그 역시 중력에 의한다. 오히려 달의 소원은 완벽한 종속에 기울거나 불완전할지라도 스스로 날아가고 싶었을 텐데 말이다. 어쩌면 말이다.

여럿이 고민만 기울이고 또 가끔 심장을 조이는 동안 달에 구름에, 비와 안개에 조용하던 종이 그제서야 떨린다. 종은 본래 유한히 맞으며 사는 녀석일텐데 도무지 이 종鐘은 다른 종種인지 그저 스산한 소리만 가끔 내고 있다. 묵직한 것도, 당목撞木이 낡거나 없어진 것도 아니다. 아, 그래 치는 이가 없구나. 손때가 잔뜩 있어야 할 나무의 이음과 걸개와 맞닿는 부분도 유려하기만 한, 사실 관상용 아닌가 싶을 정도의 그.

종이 달렸다. 어둠 속에서 간간히 보이고 대낮엔 볼 필요 없어 묵혀만 두고 있는 종이, 그 마음의 종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