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봉준이 종각역 앞에 등장했다. 종각역 앞에는 여러 건물이 있다 사라졌고, 지금은 중국에 적을 둔 한 은행이 있다. 그자리는 또 우금치에서 일본군에게 패배한 전봉준이 서울로 끌려와 전옥서(典獄署)에 수감된 곳이다.
그 동상을 사실 나는 어제 먼저 만났다. 오전 취재를 마치고 A부장과 점심식사를 위해 회사로 오던 중 청계 5가의 물난리를 이미 추가로 보고 전한 뒤다. 약속에 조금 늦었지만 종로1가에 등장한 기중기는 퍽이나 오랜만에 보는 모습이어서 발길을 멈췄다.
비가 세차게 오고 있었다. 비닐에, 다시 천에 쌓인 어떤 물건은 트럭 뒤에 실려있다 크게 들려 미리 설치돼 있던 화강암 위로 얹어졌다. 아이러니하게 나중에 알게 된 것은 그를 들어 옮길 때 포장의 무게중심이 목 뒤에 있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마치 교수형하는 것처럼 옮겨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옆으로 뒤로 다시 앞으로. 힘을 쓰는 이들은 대부분 나이든 노년의 남성, 거기에는 외국인 노동자도 있었다. 그들은 비를 맞으며 물기 가득한 재단 위에서 세게 발을 굴렀다.
어느정도 위치가 갖춰지고, 드디어 껍질이 벗겨지기 시작했다. 강렬한 눈빛의 그가 종로사거리에 나타났다.
보자마자 전봉준인 것을 알았다. 머리 위로 질끈 묶은듯한 모양과 눈빛, 그리고 입술.
중앙에서 설치를 총지휘하던 이는 내가 연신 사진을 찍자 자랑스레 “전봉준 장군입니다. 내일 개막할 건데 처음으로 보는 손님이네요.”라고 했다.
그렇게 모습을 드러낸 전봉준은 오늘 다시 흰 천에 싸였다가 만인에게 모습을 보였다. 많은 정치인과 종교인 등은 그 앞에서 사진도 찍고 손을 쓰다듬었다. 직접 본 것은 아니고, 사진으로.
그들도 왔을까. 비를 맞으며 위치를 잡고 멀리서 흐뭇하게 쳐다보던 이들, 조심스럽게 그를 들어 옮겼던 기중기의 남자까지.
전봉준은 1894년, 수백 명의 동학교도를 이끌고 만석보를 파괴하고 고부 관아를 공격했다. 이는 조병갑이 모친상을 당하고 부조금으로 2000냥을 거둬오라는 요구, 만석보라는 이름의 저수지를 백성들의 노동력을 동원해 건설하고 그 사용료도 백성들에게 강제로 징수하는 등 농민에 해가 되는 행동을 했기 때문이다. 전봉준은 수탈에 앞장섰던 아전들을 처단하고 불법으로 징수한 세곡을 탈취하여 빈민에게 나누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