옳은 것과 그른 것을 어떻게 가늠해야 하는가. 범인들은 자신의 선택으로 그것을 판단할 수 있다고 혹은 판단에 다가갈 수 있다고 알고 혹은 믿는지 모르겠으나 나는 때로 편협한 한 개인으로서 그것을 외부의 소음이나 파찰破擦로 생각했다.
어느 곳에서 태어난 아이를 어떻게 기를 것인가. 어떤 교육을 어떤 순서나 방식으로 주고, 어떤 선善과 악을, 상과 벌 또 자극을 줄 것인가는 유년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성년이 된 그가 다시 어떤 시대, 마케팅, 또 환경을 마주했는지 그 모든 게 선택 가능한 것인지 그것과 개인의 숙고 사이의 대화와 타협, 거부가 그를 쌓아간다는 생각인 게다.
그리하여 다시, 아무의 어떠한 평화는 옳은가. 누구라도 살아갈 권리가 있는가. 자유라는 무거운 두 자를 떼고라도 살고 또 살아가면서, 원하지 않는 자극을 벗어나 갈등 없는 일상을 자타로 영위할 수 있어야 하는가. 그게 모든 때가 아니라면 지금, 2020년대의 문명화된 국가, 얼마큼 가능한가.
그 권리를 얻기 위해 시대가 빚진 게 있다면, 혹은 후세를 위해 미리 지불해야 할 정신적, 육체적, 물질적 고통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 너무나 평온한 시대를 살았다고 생각했다, 때로.
그리하여, 그렇게 깊고 교만스러운 말을 기워더하지 않더라도 평화는 옳다. 애써서 남을 해害하지 않더라도 난대로 살아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실은 당연하다고 생각되며 언급됐던 안일함을 떼어 내더라도 그렇다. 정신이 들어보니 태어나 있었고, 조금 세상을 익혔더니 참수되거나 폭침爆沈된다면 그보다 큰 고통이 무엇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없었다.
그러나 그런 평화를 부수지 않고 유지하거나 붕궤된 상황의 진동수를 가라앉히는 사사건건의 시간은 어디서 오는가. 태초에 신이 수일간 세상을 만들거나 ‘인류의 시간’이 도래한 몇만년 전까지 각 류類는 평화와 혼란을 진동했다.
붕궤崩潰됐던 일들, 역사적 사건, 을 떠올려 봤다. 반도인들의 생존과, 사고방식의 진화에 대해 헤아려 보았다. 막혀도 또 막아도, 뚫거나 내몰려도, 다시 한번 생각을 더하자면 이런 생각을 하게 된 내 생장과 성숙 과정을 포함해, 끝끝내 버티며 시간과 공간을 만들어 낸 것은 대단한 일이나 그에 막힌 것들 또한 있을 터였다.
어떤 자유가 붕궤되는 것을 보면서, 인본적 관점의 무탈은 당연하거니와, 앞으로의 봉합이 궁금해졌다. 우리는 때로 무너지고 깨졌으나, 다시 쌓았고 또 붙였다.
진동하면서 죽어가는 것은 인류에게만 주어진 대단한 무엇은 아니더라도, 우리는 각자의 평화를 원하듯 남의 평화를 그렇게 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