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언론사 모든 기자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선거는 언론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친여나 친야로 분류되는 매체는 수년의 영향력이 좌우되기 때문이다. 민주당계가 득세하면 보수계로 꼽히는 매체가 비판에 힘을 싣고, 보수당계가 청와대로1에 입성하면 반대로 진보를 기치로 건 글꾼들이 펜 또 키보드에 날을 세운다. 중도와 좌우 없이 그랬다고? 권력을 무너뜨린 대한민국 언론사를 보면 대개 크게 틀리지 않았으리라.
사내에서도 비슷하다. 대개 스스로 선택해서 정할 수 없는 여당 출입 기자, 야당 출입 기자는 누가 청와대 출입기자로 새벽잠을 줄여야 할지 가름되고, 이에 따라 정치부를 계속 고수할 건지 아니면 주특기나 회사 명에 따라 다른 길을 걸어갈지 정해진다. 이 모든 게 표심에 달렸기에 어느 기자도 5년의 하룻밤을 쉽게 넘기지 못한다.
가까우면서 먼 발치에서 권력이 태어나는 것을 본 지 다섯 해가 지났다. 양 날개는 몇번씩 꺾이거나 병을 앓았고 이제 다시 영향권의 그늘 아래 몇이 섰다. 되도록 관찰하면서 비겁하지 않은 질문을 품으려던 나 또한 어느 선택을 했고, 우리는 곧 그 결과 아래 놓일 것이다.
삶은 편안해질까. 아니면 퍽퍽해질까. 혹시 빵 터지지 않을까. 알 수 없지만 ‘누가 뽑히면 이민 가겠다’는 사람도 ‘무한 신뢰’가 부서진 사람도 각자 삶을 밟고 있는 것. 오늘의 위정자 선택이 당장 내 생활에 얼마큼 영향을 미칠지 또한 저마다 달랐고, 심지어 ‘나는 정치 관심없다’며 투표일마다 놀러 다니던 사람이 편안하게 죽기도 했다.
그런 공상도 이때쯤 해보게 된다. 두 명, 많으면 다섯 명쯤에서 권력자가 나오는 것은 옳은가. 그들을 세우는 데 (그게 공공일지라도) 이익집단화된 (건국 이래 사실상 지속돼 온 몇 개의) 정당이 사실상 선출해 그 중 고르는 것은 또 어떻고. 후보가 일백명 나오고, 기호를 무작위로 나눠주면 우리는 다음 세대에게 빌린 후불제 인생을 잘 끌고 나갈 수 있을까.
혹자는 이즘(ism)의 시대는 끝났으며, 자본이 그 우위를 지배하고 있다 했다. 그러나 이런 ‘선거 뽕’ 맞는 시기쯤 되면 나는 그게 어느 자가 흘린 말인가 고민해보는 것이다. 생각은 돈에 녹았고, 나 또한 매달 25일 그것을 구걸해 받았다. 피와 땀 냄새, 고민의 체취가 내 더러운 통장 위로 차곡차곡 쌓였다.
이렇게 또 하룻밤이 지날 거다. 아무 일도 없을 거다.